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최근 빈번해지는 산불 피해, 그냥 지나치시겠습니까? 제80회 식목일을 맞아, 지금 당신이 나무 한 그루를 심는 것보다 더 의미 있는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. 고향사랑기부제를 통해 산불 피해 복구를 지원하면서 풍성한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기회, 절대 놓치지 마세요.

    이 글에서는 산불 피해 복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고, 어떤 보상과 혜택이 따라오는지 구체적으로 소개해드립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나무 식재 사진

    고향사랑기부제를 통해 산불 복구에 동참하기

     

    ‘고향사랑e음’ 플랫폼은 정부가 운영하는 공공 기부 시스템으로, 개인이 자신이 아닌 다른 지역(고향 포함)에 기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    산불로 인해 피해를 입은 지역을 지정해 기부할 수 있어, 기부금이 직접적으로 복구에 쓰일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.
    특히 벚꽃으로 유명한 경남 창원 진해 지역은 산불 피해 후 복구를 위한 '벚꽃 소생 프로젝트'가 진행 중입니다.



    지정기부로 진짜 필요한 곳에 후원 가능

     

    고향사랑e음에서는 '지정기부' 기능을 통해 특정 프로젝트에 직접 기부할 수 있습니다.
    예: 진해의 벚꽃 복원 프로젝트, 산림 재건사업 등 특정 사업에 지정해 기부하면, 해당 사업에 전액 사용됩니다.
    기부 내역도 투명하게 공개되므로 안심하고 참여할 수 있습니다.



    혜택까지 챙기는 착한 기부

     

    단순히 기부만 하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.
    기부자는 세액공제는 물론, 기부한 지역의 답례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농산물, 지역특산품, 지역상품권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지역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.
    예: 안동 한우 세트, 하동 녹차, 울산 특산 해산물 등



    산불 피해 복구, 우리의 참여가 변화를 만듭니다

     

    최근 몇 년 사이 강릉, 울진 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수천 헥타르의 산림이 소실되었고, 그 피해는 단순히 자연의 손실을 넘어 지역 주민들의 생계에도 큰 타격을 주었습니다.
    산림 복구는 오랜 시간이 걸리며, 재정적으로도 큰 부담이 따릅니다. 고향사랑기부제는 이러한 피해를 입은 지역을 돕는 가장 빠르고 직접적인 방법입니다.



    기부 방법은 간단합니다

     

    1. 고향사랑e음 홈페이지 접속
    2. 기부하고 싶은 지역 선택 (예: 창원시, 울진군 등)
    3. ‘특정사업에 기부하기’ 클릭
    4. 프로젝트 선택 후 기부금 입력
    5. 세액공제 정보 입력 및 답례품 선택



    Q&A



    Q1. 고향사랑기부제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나요?
    A. 네, 개인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, 단 본인이 거주하는 지자체에는 기부할 수 없습니다.

     

    Q2. 기부한 돈은 어디에 쓰이나요?
    A. 지정기부의 경우, 선택한 프로젝트에 100% 투입됩니다. 예: 산불 복구, 아동 지원 등

     

    Q3. 세금 혜택은 어떻게 되나요?
    A. 연간 500만원까지 기부 가능하며, 10만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, 그 이상은 16.5% 공제율 적용됩니다.

     

    Q4. 답례품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?
    A. 기부 확정 후 1~2주 이내에 발송되며, 지역마다 발송 시점은 다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Q5. 산불 복구 외에 어떤 프로젝트들이 있나요?
    A. 청소년 교육, 지역 노인 복지, 문화재 복원, 관광 활성화 등 다양한 테마가 있습니다.



    산불로 사라진 숲, 우리가 다시 피워낼 수 있습니다

     

    제80회 식목일, 나무를 심는 것도 중요하지만, 이미 잃어버린 숲을 되살리는 건 더 큰 의미를 지닙니다.
    고향사랑기부제를 통해 산불 피해 지역에 작지만 강한 도움을 주고, 지역의 희망을 함께 피워내요.
    기부는 클릭 한 번이면 충분합니다. 오늘, 따뜻한 행동에 동참해 주세요 🌲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